무인멀티콥터가 호버링 상태에서 모터에 열이 많이
발생하는 사유는 무엇인가?
1. 무거운 하중일 경우
2. 기온이 30도 이상일 경우
3. 조종기에서 키를 넣고 있는 경우
4. 착륙할 경우
중량이 무거울수록 배터리의 소모가 많으며
소비전류가 많을 수록 열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 : 1번
모터의 설명 중 맞는 것은 어느것인가?
1. BLDC모터는 변속기가 필요없다.
2. Brush모터는 영구적으로 영구적 사용이 불가능하다.
3. BLDC모터는 브러시가 있는 모터이다.
4. brush모터는 BLDC모터보다 수명이 길다.
brush모터 : 가격저렴, 구동간단
브러쉬 마모에 의해 수명이 짧다.
발열이 있다.
일반 DCbrush모터
BLDC모터 : 가격비쌈, ESC(변속기)필요함
브러쉬 없으므로 수명이 길다
발열이 적고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BLDC모터
정답 : 2번
비행 전 점검 시 모터점검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베어링 상태 점검
2. 윤활유 상태
3. 이물질 확인
4. 유격점검
모터에는 윤활유(오일)이 들어가지 않는다.
윤활유는 엔진에만 들어감
정답 : 2번
무인멀티콥터의 동력장치로 적합한 것은?
1. 터보엔진
2. 로터리엔진
3. 전기모터
4. 가솔린엔진
무인멀티콥터(드론)의 동력장치는 전기모터
대부분 BLDC모터 사용
정답 : 3번
프로펠러의 역할이 아닌것은?
1.항력발생
2.양력발생
3.추력발생
4.중력발생
중력은 지구에서 발생한다.
정답 : 4번
무인 멀티콥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센서는?
1. 기압센서
2. 지자계센서
3. 자이로센서
4. GPS
기본적으로 외우자
기압센서 : 드론고도
지자계 : 드론방향
자이로 : 드론자세
GPS : 드론위치
정답 : 4번
무인멀티콥터의 비행자세를 제어하는 센서는?
1. 자이로센서
2.GPS
3.기압 센서
4.지자기방위센서
기본적으로 외우자
기압센서 : 드론고도
지자계 : 드론방향
자이로 : 드론자세
GPS : 드론위치
정답 : 1번
무인멀티콥터의 기수를 제어하는 센서는?
1.GPS
2.온도
3.지자계센서
4.레이져
기수는 멀티콥터의 해딩방향을 말함.
기압센서 : 드론고도
지자계 : 드론방향
자이로 : 드론자세
GPS : 드론위치
정답 : 3번
멀티콥터 제어장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프롭
2. ESC
3. FC
4. GPS
멀티콥터의 제어장치=전자장치 및 센서
프롭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
정답 : 1번
멀티콥터가 이륙할 때 필요없는 장치는?
1. 변속기
2. GPS
3. 배터리
4. 모터
배터리->변속기->모터 : 필수
GPS는 비행시 위치확인
정답 : 2번
멀티콥터의 비행모드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고도제한 모드
2. 수동모드
3. GPS모드
4. 에티모드
고도제한모드란 없음.
GPS모드 : 위치유지, 고도유지
자세제어모드 : 고도만 유지
수동(메뉴얼)모드 : 고도까지 조정
정답 : 1번
비행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드론 배터리 및 전선 상태 점검
2. 조종기 배터리 부식 등 점검
3. 스로틀을 상승하여 비행해본다.
4. 모터 및 기체 점검
비행 전 점검은 비행은 하지 않는다.
정답 : 3번
비행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조종기 외부 깨짐을 확인
2.배터리 충전 상태확인
3.보조 조종기의 점검
4.기체 각 부품의 상태 및 파손 확인
보조 조종기는 보통 없다
정답 : 3번
비행 후 기체 점검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프롭의 결합상태, 파손 등을 점검한다.
2. 동력계통 부위의 볼트 조임 상태 등을 점검한다
3. 배터리 잔량이 있을 경우 비행하여 모두 소모한다.
4. 조종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부족 시 충전한다.
배터리 잔량이 남았다고 비행하지 않음
3번
다음 중 비행 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송신기를 끈다.
2. 기체를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3. 열이 식을 때까지 해당 부위는 점검하지 않는다.
4. 수신기를 끈다.
송신기 : 조종기
수신기 : 기체에 장착되있음, 기체전원이 꺼지면
자동으로 꺼진다.
정답 : 4번
멀티콥터의 명칭과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비행 시 배터리는 완전 충전 해서 사용한다
2.프로펠러는 양력을 높이기 위해 금속으로 만든다.
3.모터는 BLDC모터를 사용한다.
4.지자계와 자이로 센서는 흔들리지 않게 고정을 한다.
프로펠러는 금속이 아닌 카본 및 프롭으로 만든다.
정답 : 2번
비행 전 조종기 테스트로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기체를 이륙해서 조종기를 테스트 한다.
2. 기체 바로 옆에서 테스트 한다.
3. 기체와 100m 떨어져서 테스트 한다.
4. 기체와 30m 떨어져서 테스트 한다.
비행 전 조종기 테스트로 적당한 거리는 30m이내
정답 : 4번
무인멀티콥터가 비행가능한 지역은?
1.전파 수신이 많은 지역
2.장애물이 없고 안전한 곳
3. 인파가 많고 차량이 많은 곳
4. 전기줄 및 장애물이 많은 곳
장애물이 없고 안전한 곳에서 날려야함.
2번
멀티콥터의 착륙지점으로 바르지 않는 것은?
1. 평평하면서 경사진 곳
2. 평평한 해안지역
3. 바람에 날아가는 물체가 없는 평평한 지역
4. 고압선이 없고 평평한 지역
착륙지점은 항상 넓고 평평한 지역이여야 함.
"경사진 곳" 무조건 오답.
정답 : 1번
다음중 무인멀티콥터의 운영으로 바른것은?
1. 철골건물, 철골구조물, 조립식건물, 광산, 철판 위,
선발이나 차량위에서 운영하지 않음
2. 개장중인 해수욕장, 수영장, 보트장 상공
3. 건물, 도로, 교량, 철도, 경기장, 공연장, 인파 위
4. 우주전파 이상으로 GPS수신 상태가 불량할 때
GPS,지자계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금속주변은 피한다.
정답 : 1번
무인멀티콥터의 조종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인 관리요령이 아닌 것은?
1. 서늘한 곳에 장소 보관
2. 케이스에 보관
3. 온도상관 없이 보관
4. 배터리를 분리해서 보관
정답 : 3번
조종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시 보관 방법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방전 후에 사용할 수 있다
2. 케이스에 보관을 한다
3. 장기간 보관 시 배터리 커넥터를 분리한다.
4. 온도에 상관없이 보관한다.
장기간 보관시 방전방지를 위해 커넥터 분리
정답 : 3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아닌 것은?
1. Ni-Cd(니켈카드뮴)
2. Ni-CH
3.Li-Po(리튬폴리머)
4.Ni-MH(니켈수소)
2번
배터리 충전 및 관리요령으로 맞는 것은 어느것인가?
1. 30도 이하 상온관리
2. 배터리 매뉴얼보다 전압을 높여 충전한다.
3. 충전이 될 때까지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4. 배터리 배가 부풀어도 계속 충전한다.
충전시 만일의 상황에 대비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정답 : 3번
리튬폴리머 배터리 보관 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더운 날씨에 차량에 배터리를 보관하지 말 것
적정온도 22~28도
2. 손상된 배터리나 전력 수준이 50%이상인 상태
에서 배송하지 말 것
3. 추운 겨울에는 화로나 전열기 등 열원 주변처럼
뜨거운 장소에 보관할것
4. 배터리를 낙하, 충격, 파손 또는 인위적으로 합선
시키지 말 것.
전열기구에서 화재위험이 있어 보관금지
정답 : 3번
멀티콥터 배터리 관리 및 운용 방법 중 틀린 것은?
1. 전압 경고가 점등될 경우 가급적 빨리 복귀 및
착륙하는 것이 좋다.
2. 매 비행 시마다 완충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배터리 탈착이 가능하다.
4. 정격 용량 및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해야 한다.
항상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배터리를 탈착할것
정답 : 3번
리튬폴리머 배터리 취급/보관 방법이 아닌 것은?
1. 배터리가 부풀거나 누유 또는 손상된 상태일 경우
는 수리하여 사용한다.
2. 빗속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하지 말 것
3. 정격용량 및 장비별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
여야 한다.
4. 배터리는 -10~40도의 온도범위에서 사용한다.
부풀거나 누유된 배터리는 수리하지 않고 폐기한다.
정답 : 1번
비행 중 조종기의 배터리 경고음이 울렸을 때 취해야 할 행동은?
1. 기체를 원거리로 이동시켜 제자리 비행으로 대기
2. 즉시 기체를 착륙시키고 시동을 정지한다.
3. 재빨리 송신기의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환한다.
4. 경고음이 꺼질 때까지 기다린다.
즉시 착륙, 시동 정지
정답 : 2번
비행 시 비행체에 진동이 느껴질 때 취하는 행동은?
1. 착륙 후 기체 점검
2. 진동이 멈출 때 까지 호버링
3. 착륙 후 블레이드만 점검
4. 비행상태에서 기체점검 및 조종기 점검
즉시 착륙 후 기체점검을 실시한다.
정답 : 1번
프롭에 이상이 있을 경우 가장 먼저 발생하는 현상은?
1. 경고등 OUT
2. 기체가 추락
3. 경고고등 점등
4. 진동발생
프롭이상시 첫 증상은 이상 진동이 발생한다.
정답 : 4번
멀티콥터 무게중심(CG)의 위치는?
1. 로터 장착부
2. GPS안테나부
3. 동체 중앙부
4. 배터리 장착부
멀티콥터의 무게중심은 보통 동체 중앙부임.
정답 : 3번
무인 멀티콥터가 비행할 수 없는 것은 ?
1. 전진비행
2. 회전비행
3. 추진비행
4. 배면비행
배면비행은 불가능
정답 : 4번
멀티콥터가 지면 가까이에서 날개와 지면 사이를 흐르는 공기가 압축되어 날개의 부양력을 증가시키는 현상은?
1. 지면효과
2. 토크효과
3.공력효과
4.간섭효과
멀티콥터의 고도가 지면에 매우 가까이 낮아지면
하강풍이 지면에 부딪치며 익단화류가 감소되고
양력이 더 발생한다.
정답 : 1번
다음 중 조종 방법 설명에서 옳은 것은?
1. 고도를 하강 시 쓰로틀을 내린다.
2. 고도를 하강 시 엘리베이터를 전진한다.
3. 고도를 하강 시 쓰로틀을 올린다.
4. 고도를 하강 시 엘리베이터를 후진한다.
*기본적으로 외우자
스로틀 상 : 상승
스로틀 하 : 하강
러더 좌 : 좌회전
러더 우 : 우회전
에일러론 좌 : 좌 이동
에일러론 우 : 우 이동
엘레베이터 상 : 전진
엘리베이터 하 : 후진
정답 : 1번
notam 의 유효기간으로 바른 것은?
1. 1개월
2. 1년
3. 6개월
4. 3개월
항공종사자들이 적시에 알아야할 공항시설,
항공업무, 항공절차등의 변경 및 설정에 관한
정보를 고시하는 것.
조종자는 비행전 반드시 NOTAM을 확인해서
비행계획 설정에 참고해야한다.
항공고시보의 유효기간은 3개월이다
정답 : 4번
1마력은 몇 kgm/s인가?
1. 75
2. 60
3. 65
4. 70
정답 : 1번
초경량비행장치 중 프로펠러가 4개인 멀티콥터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 트라이콥터
2. 쿼드콥터
3. 옥토콥터
4. 헥사콥터
쿼드콥터 : 프롭4개
헥사콥터 : 프롭6개
옥토콥터 : 프롭8개
트라이콥터 : 프롭3개
정답 : 2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작용하는 4가지 힘으로 맞는 것은?
1. 추력, 양력, 항력, 무게
2. 추력, 양력, 무게, 하중
3. 추력, 모멘트, 항력, 중력
3. 비틀림력, 양력, 항력, 중력
*초경량비행장치에 작용하는 힘 4가지 : 양력, 추력, 항력, 중력(무게)
양력 : 비행장치가 뜨는 힘
추력 : 전진하는 힘
항력 : 당기는 힘
중력 : 무게
정답 : 1번
초경량비행장치가 수평비행 중 등속도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1. 항력이 양력보다 커야한다.
2. 양력과 항력이 같아야 한다.
3. 항력과 추력이 같아야 한다.
4. 양력과 무게가 같아야 한다.
*등속도 비행이란?
전진하는 추력 과 당기는 항력의 힘이 같은 상태를 말한다
정답 : 3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작용하는 4가지 요소를 설명한 것 중 틀린것은?
1. 양력이란 공기의 흐름이 기체표면을 따라 흐를 때 위로 작용하는 힘이다.
2. 항력이란 날개가 상대풍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항공역학적 힘이며
항공기 전방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3. 추력이란 프로펠러 또는 엔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역학적 힘이다.
4. 중력이란 항공기의 무게를 말하며 항공기가 부양할 수 있는 힘이다.
중력은 항공기가 부양할 수 있는 힘이 아니다 무게일뿐...
정답 : 4번
다음 중 틀린 설명은?
1. 항력보다 추력이 크면 가속도 비행
2. 항력보다 추력이 작으면 감속비행
3. 양력보다 추력이 작으면 감속비행
4. 양력과 비행기 무게가 같으면 수평비행
추력=항력 : 등속도 비행
항력>추력 : 감속비행
항력<추력 : 가속도비행
양력=무게 : 수평비행
정답 : 3번
초경량비행장치가 일정고도에서 등속수평비행을 하고 있을때의 조건은?
1. 양력=항력, 추력>중력
2. 양력=중력, 추력=항력
3. 추력>항력, 양력>중력
4. 추력=항력, 양력<중력
등속도비행 : 추력=항력
수평비행: 양력=중력(무게)
수평등속도비행 : 추력=항력, 양력=중력
정답 : 2번
비행 중 항력이 추력보다 크면?
1. 가속도 비행
2. 감속도 비행
3. 등속도 운동
4. 정지
항력>추력 = 감속도 비행
전진하는 힘보다 당기는 힘이 크면 속도가 줄어든다
정답 : 2번
초경량비행장치를 공기 중에 부양시키는 항공역학적인 힘은 다음 중 어떤 힘인가?
1. 중력
2. 항력
3. 양력
4. 추력
부양시키는 힘 : 양력
정답 : 3번
항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해 항력은 항공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2. 유도 항력은 항공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3. 전체 항력이 최소일 때의 속도로 비행시 먼거리를 날수 있다.
4. 받음각(AOA)이 증가하면 유도 항력도 증가한다.
항력이란?
항공기의 추력을 방해하는 힘
유해항력 과 유도항력으로 구분
유해항력 : 마찰,형상, 압력 항력등
속도가 빨라질수록 증가하며 속도제곱에 비례
유도항력 : 날개에 양력이 발생하면 같이 발생하는 항력
속도가 빨라지면 감소한다.
정답 : 2번
양력이 커짐에 따라 커지는 값은?
1. 항력
2. 동력
3. 추력
4. 중력
날개에 양력이 발생= 유도항력발생
유도항력은 날개에 받음각을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진다
정답 : 1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작용하는 항력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공기속도에 비례
2. 공기속도에 제곱에 비례
3. 공기속도의 3승에 비례
4. 공기속도에 반비례
위 문제는 유해항력에 대한 문제임
유해항력은 공기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유도항력 문제는 보통 "날개에서 작용하는"으로 나온다
정답 : 2번
초경량비행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항력은?
1. 유도항력
2. 형상항력
3. 유해항력
4. 조파항력
조파항력이란?
항공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할때 생기는 항력이다
정답 : 4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양력의 크기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항력은 비행기의 받음각에 따라 변한다.
3. 추력은 비행기의 받음각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4. 중력은 속도에 비례한다.
중력은 지구에서 당기는 힘이다 속도와는 상관없다.
정답 : 4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작용하는 4가지 힘이 균형을 이룰 때는 언제인가?
1. 가속
2. 지상 계류상태
3. 등속도 비행
4. 상승비행
등속도비행 : 추력=항력
수평비행: 양력=중력(무게)
수평등속도비행 : 추력=항력, 양력=중력
정답 : 3번
다음 중 마찰항력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공기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며 점성의 크기와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2. 공기의 점성의 경계층에서 생기는 소용돌이에 영향을 받고 날개 단면과 받음각의 모양에 따라 다르다.
3. 날개 끝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하며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따라 변한다.
4. 날개와는 관계없이 동체에서만 발생 한다.
설명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을 이해하면 쉽다
3번은 유도항력 설명
정답 : 1번
동력비행장치로 비행 중 비행속도를 2배로 증가시켰다.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 할때 양력과 항력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것은?
1. 항력만 2배로 증가한다.
2. 양력만 2배로 증가한다.
3. 양력은 2배로 증가하고 항력은 1/2로 감소한다.
4. 양력과 항력 모두 증가한다.
*유해항력은 속도제곱에 비례한다
*유도항력은 속도가 높아지면 작아진다
위 문제는 유도항력,유해항력으로 말하지 않았기때문에 모든항력으로 봐야하고
그렇다면 답은 4번이다
정답 : 4번
다음의 항력 중에서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영향을 받는 항력은 어느 것인가?
1. 유도항력
2. 조파항력
3. 마찰항력
4. 압력항력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는 유도항력이 작은 장점이 있다.
정답 : 1번
조종면의 힌지 모멘트를 감소시켜 조종자의 조종력을 0으로 환원 시키는 장치는?
1. 트림탭
2. 평행탭
3. 서보탭
4. 스프링탭
*설명이 어렵게 되어있는데 "조종자의 조종력"이 나오면
"트림탭"만 생각하면 된다
아래 그림의 파랑,초록,빨강 부분이 "트림탭"이다
트림탭은 보조역할, 조종자의 조종력경감을 시켜준다
정답 : 1번
동력비행장치가 비행 중 한쪽으로 쏠림이 생기면 조종자는 조종간을 한쪽으로 힘을 주고 있어야 한다. 이런 경우 조종력을 "0"으로 해주거나 조종력을 경감하는 장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도움날개
2. 트림(trim)
3. 플랩(Flap)
4. 승강타
*윗문제 해설 참고
정답 : 2번
다음 중 주조종면 또는 1차 조종면으로 구분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도움날개
2. 승강타 트림
3. 승강타
4. 방향타
*1차조종면 : 도움날개, 승강타, 방향타
트림은 2차조종면 이라 한다
정답 : 2번
플랩을 설치하는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어느것인가?
1. 이,착륙시 양력을 크게 하기 위해
2. 순항시 양력을 크게 하기 위해
3. 순항시 항력을 작게 하기 위해
4. 이, 착륙시 항력을 작게 하기 위해
*플랩이란
*주날개를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낸다
양력을 더 많이 발생시켜주는 고양력장치라고 이해하시면 된다
이착륙시 양력을 크게 하기위한 역할을 한다.
정답 : 1번
주날개에 장착된 플랩의 효과는?
1. 주익(주날개)의 양력증가로 비행기 속도의 변화 없이 급경사 착륙 진입가능
2. 양력의 증가로 고속비행가능
3. 실속의 방지
4. 기체의 좌우 쏠림 방지
*주날개를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낸다
양력을 더 많이 발생시켜주는 고양력장치라고 이해하시면 된다
이착륙시 양력을 크게 하기위한 역할을 한다.
정답 : 1번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짧은 활주거리를 저속으로 안전하게 비행하게 하는 고양력 장치는?
1. 보조익
2. 승강타
3. 방향타
4. 플랩
*주날개를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낸다
양력을 더 많이 발생시켜주는 고양력장치라고 이해하시면 된다
이착륙시 양력을 크게 하기위한 역할을 한다.
정답 : 4번
주날개의 스포일러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양력증가
2. 항력증가
3. 브레이크 역할
4. 보조날개 도움
*스포일러란?
항력을 발생시켜 항공기 속도를 낮추는 장치
브레이크로 이해하시라
플랩=고양력장치
스포일러=브레이크
정답 : 1번
비행 중 플랩을 사용했을 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양력은 증가, 항력 감소로 속도의 증가없이 상승가능
2. 양력은 감소, 항력 증가로 수평비행 불가
3. 양력,항력이 증가 속도의 증가 없이 강하 가능
4. 양력,항력이 감소되어 속도의 증가없이 강하 불가
*플랩은 주날개를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낸다
양력을 더 많이 발생시켜주는 고양력장치라고 이해하시면 된다
이착륙시 양력을 크게 하기위한 역할을 한다.
(양력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유도항력 많아진다는 것)
정답 : 3번
플랩을 내리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1. 양력 증가, 항력 감소
2. 양력 감소, 항력 증가
3. 양력, 항력 증가
4. 양력, 항력 감소
*"플랩을 내린다는것 "= "플랩을 사용한다 "라고 이해하시라
플랩은 주날개를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낸다
양력을 더 많이 발생시켜주는 고양력장치라고 이해하시면 된다
이착륙시 양력을 크게 하기위한 역할을 한다.
(양력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유도항력 많아진다)
정답 : 3번
플랩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양력을 증가 시킨다
2. 항력을 증가 시킨다
3. 이착륙 거리를 짧게 한다
4. 연료 소모율을 감소 시킨다.
*플랩...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정답 : 4번
다음 중 주 조종면이 아닌 것은?
1. 보조익(에일러론)
2. 트림탭
3. 승강타(엘리베이터)
4. 방향타(러더)
*주조종면이란 "조종3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수있게 해주는 면을말한다
주날개의 에일러론(롤링)
수평꼬리날개의 엘리베이터(피칭)
수직꼬리날개의 러더(요잉)
트림탭은 보조이다
정답 : 2번
초경량비행장치의 방향타(러더)의 사용목적은 무엇인가?
1. 편요(요잉)조종
2. 과도한 기울임의 조종
3. 선회시 경사를 주기 위해
4. 선회시 하강을 막기 위해
*러더는 기체의 해딩을 좌/우로 회전시킨다 <-이것을 요잉이라 한다
정답 : 1번
비행기의 가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운동은 무엇으로 조종하는가?
1. 도움날개
2. 방향키
3. 승강키
4. 플랩
*가로축 = 피칭 = 승강키
정답 : 3번
비행기의 기체축에서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운동과 관계되는 것은?
1. 보조익(에일러론) - 요잉
2. 보조익(에일러론) - 롤링
3. 방향타(러더) - 피칭
4. 승강타(엘리베이터) - 요잉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은 "롤링"이다 "에일러론"에 의해 움직인다
정답 : 2번
비행기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진행방향에 대한 좌우 회전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olling
2. Pitching
3. Yawing
4. side slip
이건 그냥 공식이다 그냥 외우면 뭐가나와도 맞출수 있다
세로축 = 롤링
가로축 = 피칭
수직축 = 요잉
정답 : 3번
비행기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기체의 전후를 연결하는 축은 무엇이라 하는가?
1. 세로축(종축)
2. 가로축(횡축)
3. 수직축
4. 평행축
기체의 전후를 연결하는 축은 세로축(종축)이다
정답 : 1번
항공기에 작용하는 세 개의 축이 교차되는 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무게 중심
2. 압력중심
3. 가로축의 중간지점
4. 세로축의 중간지점
항공기의 조종3축이 교차되는 지점은 "무게중심" 이다.
정답 : 1번
기체의 세로축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상반각
2. 처진각
3. 취부각
4. 후퇴각
비행기의 세로축과 날개의 시위선(코드라인)이 이루는 각도는 취부각 또는 붙임각이라 한다.
정답 : 3번
항공기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진행방향에 대한 좌우 회전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횡요
2.종요
3.편요
4.사이드슬립
항공기의 3축이 있다 헷갈리게 횡요, 종요,편요라 해놨는데
세로축(종축) 중심의 회전운동 = 롤링=횡요
가로축(횡축) 중심의 회전운동 =피칭=종요
수직축 중심의 회전운동 =요잉=편요
이렇게 이해하시라
정답 : 3번
비행기의 3축 운동과 조종면과의 관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보조날개와 요잉
2. 방향타와 피칭
3. 보조날개와 롤링
4. 승강타와 롤링
*보조날개(에일러론)= 롤링
보조날개(에일러론)=롤링
승강타(엘리베이터)=피칭
승강타(엘리베이터)=피칭
방향타(러더)=요잉
방향타(러더)=요잉
정답 : 3번
다음의 조종면 중 기체 수직안정판의 뒷부분에 부착되어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기체의Yawing운동을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방향타(Rudder) 방향키
2. 도움날개(Ailerons)
3. 승강타(Elevator)
4. 러더 트림(Rudder trim)
수직안정판이란 항공기의 수직꼬리날개를 말한다.
러더 트림은 보조개념임
Yawing = Rudder
방향타(러더)=요잉
정답 : 1번
다음의 조종면 중 기체 수평안정판 뒷부분에 장착되있고 조종간(stick)에 의해 작동되며 기수방향을 상하 운동을 하는것은 어느 것인가?
1. 방향타(Rudder) 방향키
2. 도움날개(Ailerons)
3. 승강타(Elevator)
4. 러더 트림(Rudder trim)
기수방향 상하운동 = 피칭 이라하고 엘리베이터로 조작한다
승강타(엘리베이터)=피칭
정답 : 3번
다음의 조종면 중 주날개 뒷부분에 장착되어 (stick)에 의해 작동되며 기체를 Rolling해주는 것은 어느것인가?
1. 방향타(Rudder) 방향키
2. 도움날개(Ailerons)
3. 승강타(Elevator)
4. 러더 트림(Rudder trim)
Rolling = Ailerons
보조날개(에일러론)=롤링
정답 : 2번
세로안정성과 관계가 있는 운동은?
1. 롤링
2. 요잉
3. 피칭
4. 롤링과 요잉
공식이다 외우고 햇갈릴수 있지만 햇갈리지 말자
세로안정성 =가로축 = 피칭
가로안정성= 세로축 = 롤링
정답 : 3번
역편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비행기가 선회하는 경우, 보조익을 조작해서 경사하게 되면 선회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요잉" 하는 것을 말한다.
2. 비행기가 보조익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어떤 원인에 의해서 롤링을 하는 것을 말한다.
3. 긴 날개 방향으로 요잉 하는것을 말한다.
4. 비행기가 선회하는 경우, 옆 미끄럼이 생기면, 옆 미끄럼한 방향으로 롤링 하는 것을 말한다.
역편요란?
비행기가 선회시 선회반대방향으로 기수가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편요(요잉)을 말하는 것이다 (롤링)이 아니다
정답 : 4번
고유의 안정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이착륙 성능이 좋다
2. 실속이 되기 어렵다.
3. 스핀이 되지 않는다.
4. 조종이 보다 용이하다.
안정성이란 조종이 용이하다라는 의미이다
정답 :4번
CG가 후방으로 이동 시 비행장치는 어떻게 되는가?
1. 안정성과 조종성이 감소된다.
2. 안정성이 감소되지만 조종하기 용이하다
3. 조종성은 다소 감소되나 안정성은 증대된다.
4. CG가 초과하지 않는 한 안정성과 조종성이 증가한다.
CG란? 항공기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말함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안정성과 조종성이 감소된다.
정답 : 1번
비행장치의 무게중심은 주로 어느 축을 따라 계산되는가?
1. 가로축
2. 세로축
3. 수직축
4. 세로축과 수직축
대부분의 비행장치의 무게중심은 세로축을 따라 계산된다
정답 : 2번
비행기의 상반각을 주는 주된 목적은?
1. 옆미끄럼을 방지해서 가로안정성을 좋게 한다.
2. 익단실속을 방지한다.
3. 유도항력을 적게한다.
4. 키놀이 모멘트에 대한 안정성을 준다.
*상반각 = 가로안정성 <-공식이다
정답 : 1번
초경량비행장치에 장착된 도살핀이 손상되었을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어느것인가?
1. 방향안정성
2. 가로안정성
3. 세로안정성
4. 수직안정성
*도살핀 용어가 왠지 무식해보이지만 무려 영어다(Dorsalfin)
도살핀은 비행기의 방향안정성에 큰 기여를 한다
정답 : 1번
선회비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회비행을 위해서는 선회 방향으로 경사시키는데 이를 선회경사각으로 롤인(roll in)이라 한다
2. 선회비행이 끝나고 직선비행으로 돌아오는 것을 롤 아웃(roll out)이라 한다.
3. 선회비행시 정확한 선회 경사각을 설정하지 못하면 사이드슬립(side slip)이 발생한다
4. 선회 중 양력은 수직양력분력과 수평양력분력으로 분리되며, 수직양력분력은 무게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수직양력분력은 무게와 같은 방향이 아니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정답 : 4번
항공기 날개의 상하부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의 원리는?
1. 작용-반작용의 법칙
2. 가속도의 법칙
3. 베르누이의 정리
4. 관성의 법칙
날개의 상하부를 흐를는 공기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양력이 발생하며 이 원리는 베르누이의 정리임
정답 : 3번
프로펠러의 역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양력발생
2. 추력발생
3. 항력발생
4. 중력발생
프로펠러에 의해 추력과 양력이 발생하며 항력도 발생함
중력 :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
정답 : 4번
초경량비행장치 중 프로펠러가 4개인 멀티콥터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헥사콥터
2.옥토콥터
3.쿼드콥터
4.트라이콥터
*헥사콥터 : 프롭(프로펠러) 6개
*옥토콥터 : 프롭(프로펠러) 8개
*쿼드콥터 : 프롭(프로펠러) 4개
*트라이콥터 : 프롭(프로펠러가) 3개
정답 : 3번
멀티콥터 프로펠러 피치가 1회전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속도
2. 거리
3. 압력
4. 온도
*멀티콥터의 프로펠러 피치란 프롭이 한바퀴 회전했을때 진행한 거리를 나타낸다
정답 : 2번
블레이드 종횡비의 비율이 커지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유해항력이 증가한다.
2. 활공성능이 좋아진다.
3. 유도항력이 감소한다.
4. 양항비가 작아진다.
*종횡비란? :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말한다. 가로세로비가 크면 클수록 양항비증가,양력발생증가,익단와류 감소
*항력의 종류 : 유해항력, 유도항력, 조파항력
유해항력 : 항력이란 항공기의 추력에 반대하는 힘(항공기를 뒤로 끄는 힘)
유해항력의 종류
1.형상항력 : 항공기의 모양,크기에 의해 발생
2. 마찰항력 : 항공기 및 날개에 표면의 거침 의해 발생
3. 간섭항력 : 항공기 구조의 이음부분에서 발생
유도항력
항공기 날개의 양력발생에 따라 같이 생기는 항력, 받음각이 커지면 유도항력도 커진다.
*양항비 : 비행할때 날개에 발생하는 양력과 항력의 비.
글라이더의 경우 양항비가 크면 활공각이 작아지고 같은고도에서 더 멀리 활주가능
항공기의 경우 양항비가 큰 받음각에서 비행시 같은양의 연료로 항속거리,항속시간이 늘어남
정답 : 4번
비행기에 고정피치 프로펠러를 장착하고 시험운전 중 진동이 느껴졌다. 다음 중 추정되는 원인으로 맞는 것은?
1. 프로펠러 장착 볼트의 조임치가 일정하지 않다.
2. 프로펠러의 표면이 거칠다.
3. 엔진 출력에 비해 큰 마력수에 적당한 프로펠러를 장착했다.
4. 프로펠러의 장착과는 관계없다.
회전하는 프롭 또는 로터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진동은 대부분 프롭 또는 로터의 장착문제다
정답 : 1번
다음 중 날개의 받음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고르시오.
1. 비행 중 받음각은 변한다.
2. 날개골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이다
3. 받음각이 증가하면 일정한 각까지 양력과 항력이 증가한다.
4. 기체의 중심선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이다.
받음각이란 날개골(에어포일)의 "시위선"과 상대풍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비행 중 받음각은 필요에 따라 변하며 일정한 각까지 양력과 항력이 증가한다.
정답 : 4번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모멘트의 계수 값이 변하지 않는 점을 무슨 점이라 하는가?
1. 공력중심
2. 압력중심
3. 반력중심
4. 항력중심
공력중심 : 에어포일의 받음각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기준점
압력중심 :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모든 힘(양력,항력)이 집중되는 힘, 받음각에 따라 변함
공력중심과 압력중심의 차이점을 알고 있으면 쉬운문제
정답 : 1번
항력(DRA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해 항력은 항공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2. 유도 항력은 항공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3. 전체 항력이 최소일 때의 속도로 비행하면 항공기는 가장 멀리 날아갈 수 있다.
4. 받음각(AOA)이 증가하면 유도항력도 증가한다.
항력 : 항공기에 추력에 반하는 뒤로 당기는 힘
유해항력은 간단히 형상항력/마찰항력으로 이해하면 쉬움 / 속도의 제곱에 비례함
형상 : 항공기 구조, 크기,모양등
마찰 : 항공기 표면의 거칠기등
유도항력은 양력이 발생하면서 필수로 생기는 항력으로 속도증가 시 감소함
정답 : 2번
영각(받음각)이 커지면 풍압중심은 일반적으로 어떻게 되는가?
1. 앞전 쪽으로 이동한다.
2. 뒷전 쪽으로 이동한다.
3. 기류의 상태에 따라 전면이나 뒷전 쪽으로 이동한다.
4. 풍압 중심은 영각에 무관하게 일정한 위치가 된다.
풍압중심(공력중심) : 에어포일의 받음각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기준점
압력중심 :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모든 힘(양력,항력)이 집중되ㅐ는 힘. 받음각에 따라 변함
받음각이 커질수록 앞전으로 이동 한다.
정답 : 4번
항공기가 착륙 시 지면 또는 수면에 접근함에 따라 날개 끝의 와류가 지면에 부딪혀 항력이 감소하여 지면 가까운 고도에서 비행기가 침하하지 않고 머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대기효과
2. 날개효과
3. 지면효과
4. 간섭효과
*지면효과 : 회전익 로터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내리흐름(하강풍)이 지면에 부딪혀 지면과 로터 사이의 압력이 높아지는 현상. 익단와류가 작아지고 유도항력이 감소하고 양력이 증가한다.
정답 : 3번
항공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밀도 제곱에 비례
2. 날개면적의 제곱에 비례
3. 속도 제곱에 비례
4. 양력계수의 제곱에 비례
*양력 = 날개면적에 비례
*양력 = 공기밀도에 비례
*양력 = 속도의 제곱에 비례
*양력 = 양력계수에 비례
정답 : 3번
타원형 날개의 특징은 무엇인가?
1. 설계, 제작이 간단하다.
2. 실속이 잘 일어난다.
3. 국부적 실속이 발생한다.
4. 유도항력이 최소이다.
*타원형날개
-부드러운 곡선으로 제작되어 양력효율이 더 높다
-실속, 유도항력이 적게 발생한다.
-타원형이라 구조적으로 제작이 어렵다.
정답 : 4번
항공기를 설계할 때 날개나 기체 표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능한 순조롭게 하기 위해 유선형 모양으로 몸체를 만드는 이유는?
1. 유도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2. 압력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3. 마찰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4. 조파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유도항력 : 날개에서 양력이 발생하며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항력
*압력항력 : 물체 주변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마찰항력 : 날개등의 표면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
*조파항력 : 충격파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천음속,초음속)
정답 : 3번
받음각(AOA)이란 익형(Air foil)의 시위선(Code line)과 어느 것으로 이루어진 각을 말하는가?
1. 수평선
2. 에어포일의 피치각
3. 붙임각
4. 상대풍(흐름의 방향)
*받음각(영각)은 날개의 시위선과 상대풍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정답 : 4번
다음이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날개골의 임의 지점에 중심을 잡고 받음각의 변화를 주면 기수를 들고 내리게 하는 피칭모멘트가 발생하는데 이 모멘트의 값이 받음각에 관계없이 일정한 지점을 말함"
1. 압력중심
2. 공력중심
3. 무게중심
4. 평균공력시위
공력중심 : 에어포일의 받음각이 변하여도 변하지 않는 기준점
압력중심 :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모든 힘(양력,항력)이 집중되는 힘, 받음각에 따라 변함
정답 : 2번
0양력 받음각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실속이 발생할 때의 받음각
2. 실속이 발생하지 않을 때의 받음각
3. 양력이 발생할 때의 받음각
4. 양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의 받음각
0양력 받음각(Zero Lift AOA)
-양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의 받음각
-0양력 받음각을 넘어가면 양력발생
실속각(Stalling AOA)
-양력이 최대로 발생할 때의 받음각
-실속각을 넘어가면 실속에 들어감
정답 : 3번
프로펠러 이상 시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
1. 프로펠러의 진동이 느껴진다.
2. 모터가 속도가 늦어진다.
3. 기체가 떨린다.
4. 배터리가 열이 난다.
프로펠러 이상시 프로펠러의 진동이 느껴진다.
정답 : 1번
날개의 붙임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날개의 시위와 공기흐름의 방향과 이루는 각이다.
2. 날개의 중심선과 공기흐름 방향과 이루는 각이다.
3. 날개 중심선과 수평축이 이루는 각이다.
4. 날개 시위선과 비행기 세로축선이 이루는 각이다.
붙임각이란 쉽게말해 항공기 기체에 날개를 붙이는 각도를 말함. 기체의 "세로축"과 "날개 시위선"이 이루는 각 임
받음각과 혼동하지말것
정답 : 4번
유도항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윙렛 설치
2. 타원형 날개를 사용
3. 종횡비를 크게 한다.
4. Vortex genertor
윙렛 : 날개끝에 장착되어 익단와류를 감소시켜 유도항력을 감소시킨다.
타원형 날개 : 곡선으로 제작되어 양력효율이 좋고 유도항력이 적게 발생함
종횡비(가로세로비) : 가로세로비가 크면 클수록 양항비증가,양력발생증가,익단와류 감소
Vortex genertor : 와류발생기
정답 : 4번
날개에서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어느것인가?
1. 날개에서 양력과 항력이 작용하는 점이다.
2. 받음각과는 관계가 없다.
3. 수평비행 중 속도가 빨라지면 전방으로 이동한다.
4. 비행자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압력중심 :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모든 힘(양력,항력)이 집중되는 힘. 받음각에 따라 변함.
받음각이 커질수록 앞전으로 이동 한다.
정답 : 1번
날개에 윙렛(Winglet)을 설치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유도항력 감소
2. 형상항력 감소
3. 마찰항력 감소
4. 간섭항력 감소
윙렛 : 날개끝에 장착되어 익단와류를 감소시켜 유도항력을 감소시킨다.
정답 : 1번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골은?
1. 직사각형 날개
2. 테이퍼 날개
3. 타원형 날개
4. 뒤젖힘 날개
날개의 종류가 많으나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는 타원형 날개임
타원형날개
길이방향 유속속도가 일정하며 유도항력이 최소
제작이 어렵고 고속 비행기로 부적합
활공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활공거리를 고도로 나눈 값이다.
2. 활공비가 좋다는 것은 활공각이 작다는 것이다.
3. 활공비와 양항비가 같다.
4. 엔진(발동기)의 출력을 완속 상태에서 최대비행거리를 말한다.
*활공비란?
-일정한 높이에서 얼마나 멀리 날아갈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
- 활공거리를 고도로 나눈 값
-멀리 비행하려면 활공각이 작아야 한다.
-활공비와 양항비는 같다.
정답 : 4번
날개의 면적은 변함이 없이 같은 조건으로 날개의 가로세로비(Asect ratio)를 크게 했을 경우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유도항력계수가 작아진다.
2. 활공거리가 길어진다.
3. 유도항력이 작아지고 활공거리가 길어진다.
4. 유도항력이 커지고 착륙거리가 짧아진다.
*가로세로비가 크면 상대적으로 양력이 커지고 항력이 작아진다
*가로세로비가 클수록 구조강도의 문제로 제한하고 있다.
*면적이 같더라도 날개의 가로세로비가 클수록 유리하다
가로 40m 세로 2m = 40:20 = 20:1
가로 20m 세로 4m = 20:40 = 5:1
날개의 양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공기흐름방향의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2.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동체의 세로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3.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기체의 수평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4.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비행장치의 전진력에 대한 저항력이다.
날개 상하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위로올라가는 힘이 발생하는 것
정답 : 1번
실속(Stall)이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1. 속도가 없어지므로
2. 받음각(AOA)이 너무 커져서
3. 엔진의 출력이 부족해서
4. 불안정한 대기 때문에 비행기의 안정과 조종, 계기, 장비, 역학
실속이 일어나는 이유는 받음각이 커져서 날개에서 박리(흐름의 떨어짐)이 일어나기 때문임
정답 : 2번
무풍상태에 지상에 계류중인 비행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날개의 아랫부분의 압력보다 윗부분을 누르는 압력이 높다.
2. 날개의 윗부분의 압력이 아랫부분을 들어 올리는 압력보다 높다.
3. 날개의 아랫부분의 압력과 윗부분의 압력은 같다.
4. 날개의 형태에 따라 다르다.
계류중인 비행기의 날개에는 압력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 : 3번
받음각이 0일때 양력계수가 0이 되는 날개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캠버가 큰 날개골
2. 대칭형 날개골
3. 캠버가 크고 두꺼운 날개골
4. 캠버가 작고 두꺼운 날개골
받음각이 0일때 양력계수가 0이되는 날개골은 대칭형날개골임
비대칭형은 받음각이 0이라도 비대칭으로 생겨서 양력발생함
정답 : 2번
날개에서 발생하는 항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공기밀도
2. 날개의 면적
3. 날개시위의 길이
4. 공기흐름 속도
정답 : 4번
베르누이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것은?
1. 유체가 빠르게 통과하는 곳은 동압이 높다
2. 유체가 빠르게 통과하는 곳은 정압이 낮다
3. 단면이 좁은 지점에서는 유체가 빠르게 통과한다.
4. 단면이 넓은 지점에서는 유체가 빠르게 통과한다.
*속도가 빠르다 = 동압이 높다 = 정압이 낮다
*속도가 느리다= 동압이 낮다 = 정압이 높다
*단면이 좁으면 유체의 속도는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단면의 넓으면 유체의 속도는 느려지고 압력은 높아진다
정답 : 4번
베르누이방정식에서 비압축성 유체의 흐름은?
1.정압과 동압의 합은 일정하다.
2. 정압과 동압의 합은 같다.
3.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정압은 증가한다.
4. 동압은 항상 정압보다 크다.
정압 + 동압 = 전압 = 일정
정답 : 1번
관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관을 통과하는 유체(공기)의 속도, 동압, 정압의 관계의 설명 중 바른 것은?
1.직경의 작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2. 직경이 넓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3. 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흐름의 속도가 같고 동압과 정압의 변화는 일정하다.
4. 직경이 작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느려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속도가 빠르다 = 동압이 높다 = 정압이 낮다
속도가 느리다= 동압이 낮다 = 정압이 높다
단면이 좁으면 유체의 속도는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단면의 넓으면 유체의 속도는 느려지고 압력은 높아진다
정답 : 1번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1.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
2.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작다.
3.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작다.
4.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크다.
공기밀도가 높다는 것은 공기입자수가 많다는 것이고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다
그러므로 동압이 크다
정답 : 1번
양력이 발생하는 원리의 기초가 되는 베르누이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것인가?
1. 전압 = 동압+정압
2. 흐름의 속도가 빨라지면 동압이 증가하고 정압이 감소한다.
3. 음속보다 빠른 흐름에서는 동압과 정압이 동시에 증가한다.
4. 전압과 정압의 차이로 비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압+정압=동압
속도가 빠르다 = 동압이 높다 = 정압이 낮다
속도가 느리다= 동압이 낮다 = 정압이 높다
전압과 정압의 차이로 비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항공기 피토관)
정답 : 3번
동압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동압은 공기밀도와 비례한다.
2. 동압은 공기흐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 동압은 부딪히는 면적에 비례한다.
4. 동압은 정압의 크기에 비례한다.
동압은 공기밀도에 비례한다.
동압은 공기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동압은 부딪히는 면적에 비례한다.
동압은 정압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정답 : 4번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일정한 것은?
1.정압
2.전압
3.동압
4.전압과 동압의 합
정압+동압=전압=일정
정답 : 2번
공기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으로 맞는 것은?
1. 정압
2. 동압
3. 벤츄리 압력
4. 속도는 동압+정압에서 전압을 뺀 것이다
정압 :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동압 : 방향성이 있는 움직이는 유체의 압력
전압 : 정압+동압으로 유체의 기계적 에너지 총합
정답 : 1번
다음은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1. 유체속도가 빠르면 정압은 낮아진다.
2. 유체속도는 정압에 비례한다.
3. 정압은 속도와 비례한다.
4. 유체속도는 압력과 무관하다.
속도가 빠르다 = 동압이 높다 = 정압이 낮다
속도가 느리다= 동압이 낮다 = 정압이 높다
정압은 속도(동압)와 반비례 한다.
정답 : 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