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1. 지구의 회전
2. 공기량 증가
3. 태양의 복사열의 불균형
4. 습도
바람은 공기의 흐름.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는 원인은
태양에너지에 의한 지표면의 불균형
가열에 의한 기압 차이로 발생한다.
정답 : 3번
바람이 존재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1. 기압차이
2. 고도차이
3. 공기밀도 차이
4. 자전과 공전현상
바람은 공기의 흐름.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는 원인은
태양에너지에 의한 지표면의 불균형
가열에 의한 기압 차이로 발생한다.
정답 : 1번
다음 중 풍속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m/s
2. kph
3. knot
4. mile
mile은 거리의 단위
정답 : 4번
다음중 윈드쉬어(wind shear)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ind shear는 동일 지역 내에 바람의 방향이 급변하는 것으로 풍속의 변화는 없다.
2. wind shear는 어느 고도층에서나 발생하며 수평,수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3. 저고도 기온 역전층 부근에서 wind shear가 발생하기도 한다.
4. 착륙시 양쪽 활주로 끝 모두가 배풍을 지시하면 저고도 wind shear로 인식하고 복행을 해야 한다.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거나 변화하는 현상
정답 : 1번
겨울에는 대륙에서 해양으로 여름에는 해양에서 대륙으로 부는 바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편서풍
2. 계절풍
3. 해풍
4. 대륙풍
계절풍 : 겨울과 여름의 대륙과 해양의 온도차로 인해 생기는 바람
겨울 : 시베리아 고기압의 찬공기 유입= 대륙->해양
여름 : 북태평양 고기압의 더운공기 유입 = 해양->대륙
정답 : 2번
평균 풍속보다 10Kts 이상 차이가 있으며 순간 최대풍속 17knot이상의
강풍이며 지속시간이 초단위로 급변하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1.돌풍
2.스콜
3.윈드쉬어
4.마이크로버스터
순간적으로 발생, 풍속이 강하지만 곧 사라지는 바람.
불규칙하게 단편적으로 부는 바람으로 최대 순간 풍속치가 10분간 평균 10knot 이상 변화가 있는것
뇌우를 수반하는 한랭전선과 함께 발생하고 지속시간은 20~30초 이하
정답 : 1번
주간에 산 사면이 햇빛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여 산 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1.산풍
2.곡풍
3.육풍
4.풴현상
낮에는 산비탈을 타고 올라가는 바람 "곡풍"
밤에는 산비탈을 타고 내려가는 바람 "산풍"
곡풍
낮에는 산비탈이 가열되어 산비탈 근처 공기가 주변공기보다 따뜻해진다
이에 산비탈을 따라 올라가는 곡풍이 형성된다.
산풍
밤에는 반대로 산비탈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산비탈 근처 공기가 주변보다 낮은 온도가 되어
산비탈을 타고 내려가는 산풍을 형성한다.
낮에는 산비탈을 타고 올라가는 바람 "곡풍"
밤에는 산비탈을 타고 내려가는 바람 "산풍"
정답 : 2번
산바람과 골바람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산악지역에서 낮에 형성되는 바람은 골바람으로 산 아래에서 산 정상으로 부는 바람이다.
2.산바람은 산 정상부분으로 불고 골바람은 산 정상에서 아래로 부는 바람이다.
3.산바람과 골바람 모두 산의 경사 정도에 따라 가열되는 정도에 따른 바람이다.
4.산바람은 낮에 그리고 골바람은 밤에 형성된다.
정답 : 1번
주간에는 해수면에서 육지로 바람이 불며 야간에는 육지에서 해수면으로 부는 바람은?
1.해풍
2.계절풍
3.해륙풍
4.국지풍
해륙풍 : 육지와 바다의 비열차이로 인해 육지는 바다보다 빨리 가열하고 빨리 식어 발생하는 바람
해안가에서 하루를 주기로 풍향이 바뀜
낮 : (해풍)바다-> 육지
밤 : (육풍)육지-> 바다
정답 : 3번
지상의 나뭇잎이 움직이고 풍향계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때의 풍속은 얼마인가?
1.1.6~3.3m/s
2.3.4~5.4m/s
3.5.5~7.9m/s
4.8.0~10.7m/s
정답 : 1번
METAR 보고에서 바람방향, 즉 풍향의 기준은 무엇인가?
1.자북
2.진북
3.도북
4.자북과 도북
METAR보고: 공항별 정시 기상관측, 매 시각 정시 5분전 발생, 공항의 기상상태를 보고하는 기본관측
자북: 나침반이 지시하는 북쪽
진북: 실제 북쪽(자오선상의 북,남극점을 연결한 북극성 방향)
도북: 지도상의 북쪽
정답 : 2번
바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풍속의 단위는 m/s,knot등을 사용한다.
2.풍향은 지리학상의 진북을 기준으로 한다.
3.풍속은 공기가 이동한 거리와 이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
4.바람은 기압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흘러가는 공기의 흐름이다.
바람은 기압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흘러가는 공기의 흐름
정답 : 4번
스콜(squall)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갑자기 불기 시작하여(풍속11m/s이상) 몇 분(1분 이상) 동안 계속된 후 갑자기 멈추는 바람
2.우리나라 한여름 소나기도 스콜이다.
3.반드시 스콜성 구름이 나타난다.
4.열대지방에서 주로 발생한다.
squall. 일광에 의해 지표가 가열되면서 나타나는 대류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늦은 오후의 소나기. 이때 바람은 돌풍보다는 지속시간이 길고 풍향도 돌변한다. 특징은 갑자기 벼락같이 비를 쏟아내리다가, 수분만에 언제 비가 내렸냐는 듯 평소처럼 해가 쨍하고 날씨가 바뀐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에서 내리는 소나기를 스콜이라고 부르며, 한국의 여름의 소나기는 높은곳에서 흐르는 찬 공기가 뜨겁게 가열된 지표면 위를 지나가면서 나타나는 대류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위도성의 소나기다.
정답 : 3번
항공기상 용어 중 wind calm의 의미는 무엇인가?
1.바람의 세기가 무풍이거나 3kts 이하
2.바람의 세기가 5kts 이상
3.바람의 세기가 10kts이상
4.바람의 세기가 15kts이상
조종사에게 불러주는 용어로 바람이 없거나 3kts 이하일때를 의미함.
정답 : 1번
대기권의 구조
지표면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 으로 구분되어 있다.
1. 대류권
대부분의 기상현상이 일어나는 곳. 구름, 눈, 비, 태풍 과 같은 기상현상이 일어남.
대류권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평균고도 11km정도
대류권은 고도가 상승하면 온도가 감소 하며 공기밀도역시 감소한다.
전체 대기질량의 75%이상을 갖고 있다.
대류권의 상한인 대류권계면은 대기가 안정되어 구름이 없고, 기온이 낮으며
공기가 희박하여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는 제트기 운항에 적합하다
대류권의 하부에는 경량항공기 및 초경량비행장치가 활동한다.
2.성층권
성층권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11km~50km 범위
상승할수록 온도가 상승한다.
20km~30km지점에 오존층이 존재한다.
성층권의 하부는 대기가 안정되고 구름이 적고 기온이 낮으며
공기가 희박하여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는 제트기 운항이 적합하고
9~15km고도 범위에서 비행을 한다.
3. 중간권
중간권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50~80km 범위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감소한다.
대기권에서 온도가 가장낮은 대기권계면이 있다.
고도가 상승할수록 온도가 감소하므로 대기가 불안전 하여 대류현상이 일어난다.
4. 열권
열권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대략 80km~500km 범위
태양에너지에 의해 공기 분자가 이온화되어 자유전자가 밀집되어 전리층이 있다.
전리층은 아래에서부터 D,E,F,G층으로 구분되며 F층은 고도 180km~300km
까지로, 55~95m파장의 전파를 반사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항공분야에서 HF주파수를 사용하여 장거리 통신을 한다.
5. 외기권
지구 대기권의 마지막 대기층.
지표면으로부터 500~1,000km에서 시작하며 대략 10,000km 까지 범위
외기권에는 산소, 질소는 존재하지 않고 수소와 헬륨같은 가벼운 원소가 존재한다.
대기권을 고도에 따라 낮은 곳부터 높은 곳까지 순서대로 바르게 분류한 것은?
1. 대류권-성층권-열권-중간권-극외권
2. 대류권-성층권-중간권-열권-극외권
3. 대류권-중간권-성층권-열권-극외권
4. 대류권-중간권-열권-성층권-극외권
정답: 2번
대기권 중 기상 변화가 일어나는 층으로 상승할수록 온도가 강하되는 층은 어느 것인가?
1.중간권
2.열권
3.대류권
4.성층권
기상변화가 일어나고 상승할수록 온도가 강하되는 층 : 대류권
기상변화가 나오면 99% 대류권
정답 : 3번
대류권 내에서 기온은 1,000ft마다 몇 도(℃)씩 감소하는가?
1.1℃
2.2℃
3.3℃
4.4℃
1,000ft당 2℃ 하강함 (-6.5℃ / 1km)<-같이 알아놓면 좋음
정답 : 2번
평균 해면에서의 온도가 20℃일 때 1000ft에서의 온도는 얼마인가?
1.30℃
2.15℃
3.20℃
4.18℃
1,000ft당 2℃ 하강함
정답 : 4번
대류권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대류권의 평균 높이는 15m이다.
2.대기권 질량의 60%에 해당하는 기체가 모여있다.
3.온도와 기압 차이로 대류 현상이 발생한다.
4.대류권은 대기권의 중간층에 위치한다.
풀이
1.대류권의 평균높이는 지면에서 12km 정도
2.대기권 질량의 80%에 해당하는 기체가 모여있다.
4.대류권은 대기권은 맨 아래에 위치한다.
정답 : 3번
다음 중 대류권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대류권의 높이는 약 10~15km, 평균 12km이다.
2.고도가 낮은 곳은 기온이 높고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다.
3.대기권의 가장 아래층에 해당된다.
4.오존층에 있어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한다.
오존층은 성층권에 있음
정답 : 4번
다음 중 대기권에서 전리층이 존재하는 곳은?
1.증간권
2.열권
3.극외권
4.성층권
전리층
태양에너지에 의해 공기분자가 이온화되어 자유전자가 밀집된 구역
열권에 있다.
전리층은 지상에서 발사한 전파를 흡수하여 무선통신(HF)에 이용
정답 : 2번
대기중의 온도의 변화가 조금 밖에 없으며 평균 높이가 약 17km의 대기권은?
1.대류권
2.대류권계면
3.성층권
4.성층권계면
대류권계면
대류권의 상한인 대류권계면 부근에서는 대기가 안정되어
구름이 없고 기온이 낮으며 공기가 희박하여 제트기의 운항
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
정답 : 2번
대기권의 설명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
1.대기의 온도 습도 압력 등으로 대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2.대기의 상태는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으로 고도에 따라 심하게 변한다.
3.대기권 중 대류권에서는 고도가 상승할 때 온도가 상승한다.
4.대기는 몇 개의 층으로 구분하는데 온도의 분포를 바탕으로 대류권,성층권
중간권, 열권등으로 나타낸다.
대류권은 고도가 상승할 수록 온도가 하강한다
정답 : 3번
장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리층이 있는 대기층은?
1.대류권
2.성층권
3.열권
4.중간권
전리층이 있는 대기권은 열권임
정답 : 3번
표준 해수면의 기온과 표준기압은 어느 것인가?
1. 15℃ 29.92mb
2. 15℃ 29.92inHg
3. 15℉ 29.92Hg
4. 15℉ 29.92mb
풀이
국제표준대기
항공기들이 비행을 하며 항공관제를 받아 항공기간의 거리 및
고도에 따른 안전거리확보, 항공기 비행성능 및 엔진의 출력비교
항공기 설계 및 운용을 위한 기준이 되는 ICAO에서 정한 국제표준대기
해면상 표준기압 : 1013.25mb, 29.92in-Hg
해면상 공기밀도 : 1225kg/m³
중력가속도 : 9.80665m/s²
음속 340.43m/s
해면상 기온 : 15℃, 288.15K
결빙온도 : 273.15K
고도별 온도 변화율 : 11km까지 -6.5/km
고도별 온도 변화율 : 11~12km는 0.0℃/km(등온층)
정답 : 2번
표준대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온도15℃
2.압력 760mmHG
3.지표면의 높이에서 측정
4.음속 340m/s
풀이
국제표준대기
항공기들이 비행을 하며 항공관제를 받아 항공기간의 거리 및
고도에 따른 안전거리확보, 항공기 비행성능 및 엔진의 출력비교
항공기 설계 및 운용을 위한 기준이 되는 ICAO에서 정한 국제표준대기
해면상 표준기압 : 1013.25mb, 29.92in-Hg
해면상 공기밀도 : 1225kg/m³
중력가속도 : 9.80665m/s²
음속 340.43m/s
해면상 기온 : 15℃, 288.15K
결빙온도 : 273.15K
고도별 온도 변화율 : 11km까지 -6.5/km
고도별 온도 변화율 : 11~12km는 0.0℃/km(등온층)
정답 : 3번
대기 중 산소의 분포율은 얼마인가?
1.10%
2.21%
3.30%
4.60%
질소 78%, 산소 21%, 기타 1%
정답 : 2번
표준대기의 혼합기체 비율로 맞는 것은?
1. 산소 78%, 질소21%, 기타1%
2. 산소 50%, 질소 50%, 기타1%
3. 산소 21%, 질소 50%, 기타78%
4. 산소 21%, 질소 78%, 기타 1%
질소 78%, 산소 21%, 기타 1%
정답 : 4번
대기를 구성하는 원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1.질소
2.산소
3.이산화탄소
4.오존
질소 78%, 산소 21%, 기타 1%
정답 : 1번